산업



무기계약직은 정규직 아니다?…대형마트들, 새정부 눈높이 어찌 맞출까

기업은행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방침에 '혹시나 불똥튈라' 긴장대형마트측 "금융권·車 제조업과 달리 정규직과는 업무 자체가 달라"시간당 1만원 최저임금 인상 부담 우려 속 유통업계 속앓이 이어져

국책은행 기업은행 노사가 은행권 최초로 무기계약직 창구 담당직원 3000여명을 올해 안에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하면서 대형마트들도 새정부의 높아진 눈높이에 불똥이 튀지 않을까 긴장하는 모습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 사측에선 캐셔, 판매사원 등 무기계약직을 '사실상의 정규직'으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무기계약직 근로자들은 고용안정이라는 측면에서 자신들이 '비정규직'이라는 타이틀만 벗었을뿐 정규직과의 처우 차이는 여전하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마트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규직은 계약 기간의 정함이 없고 취업규칙에 따라 보장 받는다"면서 "무기계약직도 업계에선 통상적으로 정규직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노동계 입장에선 무기계약직은 고용 안정성이 높긴하지만 연봉과 근로조건 등이 정규직보다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가깝다는 이유로 이 같은 주장에 반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비정규직과 정규직 중간 정도의 수준의 '중규직'이라고 보기도 한다.

이와 관련, 법조계 관계자는 "정규직, 비정규직, 무기계약직 등의 명칭은 근로기준법 등 법조항으로 정의가 규정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해석을 놓고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지난 2007년 개정된 비정규직 보호법에 따라 관련 직군들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다. 롯데마트의 올해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31일 기준 전체 1만3625명 직원 중 무기계약직(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중 단시간 근로자)은 남자 358명, 여자 8705명 등 9000여명을 넘어선다. 비정규직(기간제근로자)은 한명도 없으나 전체 직원의 65%가 무기계약직인 셈이다. 공시대상이 아닌 홈플러스의 경우 직원현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비정규직 직원이 전체의 10% 수준이며, 무기계약직의 수치는 롯데마트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마트의 경우 주말 파트타임 근무자 외에 나머지 계산원, 판매사원들을 각각 2007년과 2013년에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올해3월31일 기준 이마트 근로자 총 2만7765명 중 무기계약직 1337명, 계약직 177명으로 주로 본인을의 희망에 따라 주말에 근무하는 파트타임 근무자들이다.

다만 이마트는 무기계약직을 정규직화 했다고는 하지만 캐셔, 판매직군 등 동일 직종의 임금이나 승진 등의 면에선 롯데마트와 홈플러스와 큰 차이가 없다.

대형마트 한 관계자는 "은행 같은 금융권이나 자동차 제조업과 달리 마트 업태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같은 일을 하고 있지 않다"면서 "업무의 경중에 따라 직군별로 급여가 상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무·관리 업무를 하는 정규직 사원과 캐셔·상품 진열대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급여나 승진과 관련된 차이는 당연하며, 주말에 고객수가 늘어나는 등 날짜·시간대 별로 방문객 수가 다르다보니 아르바이트 등 비정규직 시간제(파트타임) 근로 형태가 필요할 수 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또다른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최저임금 인상률도 문제인데 고용이 보장된 대형마트의 무기계약직을 모두 일반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면서 "대형마트 업황 침체국면 속에 영업이익을 올리지도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앞서 지난 대선기간 롯데마트·이마트·홈플러스 노조로 구성된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준비위원회는 "올해 마트 노동자 시급이 6600~6800원 수준으로 대부분이 최저시급 임금을 받고 있고, 고된 육체노동 뿐만 아니라 감정노동에까지 노출돼 있다"면서 최저임금 1만원 인상, 정규직 전환,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 감정노동자 보호대책 마련, 서비스 업종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요구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