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은, 자발적으로 비정규직 줄이고 성과연봉제 추진

문재인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일자리 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중앙은행인 한국은행도 자발적으로 참여, 정부 정책과 호흡 맞추기에 나섰다.

하지만 기존에 추진해 오던 성과연봉제 확대는 지속 추진쪽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5일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정부의 고용 관련 정책 방향과 한은의 중장기 인력 수급계획, 예산 사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비정규직 감축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임직원 2350명 가운데 소속 외 인력(파견직)은 179명이다. 주로 경비와 운전, 서무, 비서 업무 등에 종사하고 있는 이들이 검토 대상이 될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는 비정규직 제로와 일자리 확충을 핵심 정책으로 내걸고 있다. 청와대에 일자리 상황판까지 내걸고 있는 만큼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민간기업들도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기관은 아니지만 한국은행이 자발적으로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협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 총재는 성과연봉제와 관련해서는 현 정부 기조와 다른 시각을 드러냈다.

한은은 박근혜 정부에서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공공기관들과 함께 추진한 바 있다. 하지만 노사 합의에 이르지 못해 성과연봉제를 확대하지는 못했었다.

이 총재는 "중앙은행으로서 사회적 책무와 조직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보면 성과 중심 급여 체계로의 개편 필요성은 여전히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것 또한 역시 앞으로 예산 상황이나 정부 정책 방향 등을 고려하고 직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한은 조직 또는 한은의 직무 특성에 적합한 급여체계를 확립해 나가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은은 정부의 고용 정책에 보조를 맞추는 방안으로 '고용안정'을 통화정책 목적에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현재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을 두 축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고 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처럼 고용지표도 통화정책의 하나로 포함시키는 방안이다.

통화정책을 총괄하는 한은이 문재인 정부가 사활을 걸고 있는 일자리 창출 문제를 2선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인 셈이다.

이 총재는 "한은의 경우 미 연준과 같이 완전고용이 하나의 중앙은행의 목표로 명시돼 있진 않지만 전반적인 경기 상황을 판단할 때 고용도 같이 보고 있다"며 "고용을 미 연준처럼 중앙은행의 목적 조항에 집어넣는 문제는 국회를 중심으로 해서 논의가 제기된 것으로 알고 있다. 그 문제는 앞으로 좀더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