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가계 원리금 상환액, 6년간 87.4% 급증…가처분소득 증가율 2.5배

지난해 부채가구, 빚 갚느라 1500만원 지출…가처분 소득의 33.4%

가계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부채보유가계의 원리금 상환액도 6년 사이 9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쓸 수 있는 돈은 크게 늘지 않은 상황에서 상환부담만 크게 증가한 셈이다.

  6일 국회예산청책처의 '2017년 수정 경제전망' 따르면 부채보유가계의 원리금 상환액은 2010년 826만원에서 2016년 1548만원으로 87.4% 증가했다.

  하지만 이 기간 부채보유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은 3464만원에서 4635만원으로 33.8% 증가하는데 그쳤다.

  쓸 수 있는 돈이 늘어나는 속도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늘어나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뜻이다.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늘고 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중을 보면 2010년 23.9%에서 2011년 25.5%로 오른 뒤 2012년 22.3%로 다시 낮아졌다. 하지만 이후로는 계속 오르막이다. 2013년 24.5%에서 2014년 27.3%, 2015년 29.7%까지 올랐다.

  지난해의 경우 처분가능소득 4635만원 중 1548만원이 빚을 갚기 위해 쓰였다. 원리금 상환액 비중은 처음으로 30%를 넘어 33.3%에 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비거치식·분할상환 대출을 유도하고 있어 향후 원리금 상환부담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미국 금리인상으로 국내 시장금리가 상승해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자율 상승에 따른 가계부채의 원리금 상환부담 확대는 지출가능 소득을 감소시켜 가계소비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번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9%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발표한 기존 전망치(2.7%)보다 0.2%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보고서는 "수출은 선진국과 신흥개도국의 수입수요 확대로 큰 폭 증가하고, 설비투자는 정보기술(IT)과 석유제품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개선될 전망"이라며 "민간소비는 소득증가세 둔화, 가계부채 등 구조적 제약요인 등으로 부진해 성장기여도가 하락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