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韓 고령층 "선진국 비해 이례적으로 소비성향 낮다"

"고령층 소비 성향, 최근 10년간 하락세"
"향후 연금소득 증가 등으로 개선 가능성"


[파이낸셜데일리=김유미 기자] 우리나라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선진국에 비해 이례적으로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은은 28일 펴낸 '인구구조 고령화의 영향과 정책과제' 백서에서 '고령화와 소비' 주제의 연구를 통해 "주요 선진국의 사례에 비춰볼 때 우리나라 고령층의 소비 성향은 이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이 백서는 한은이 장기간에 걸쳐 인구 고령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 등을 실은 것으로 15개 주제의 연구 내용을 담고 있다.


  한은은 "가계는 소득이 많은 장년 시기에 저축을 늘리고, 노년에는 소비를 하기 때문에 고령층의 소비 성향이 장년층을 상회하는게 일반적"이라며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다른 연령층과 비슷하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백서에 따르면 고령층의 소비성향은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60대의 경우 지난 2003년 78.2%에서 2015년 68.1%로 10.1%p 하락했다. 반면 30대의 경우 같은 기간 76.4%에서 73.1%로 3.3%p 감소에 그쳤다. 실제 고령층의 가구당(2인 이상) 소비규모를 보면 2015년 기준 연평균 2100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인 3100만원을 크게 밑돌고 있는 상황이다. 미래 소득 불안과 노후자금 부족 등으로 지갑을 닫는 고령층이 많은 것이다.


  다행인 점은 앞으로는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다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연금소득 증가 등으로 은퇴 이후 고령층의 소득 안정성이 개선되고, 기대수명 연장 속도가 줄어들면서 저축의 필요성도 감소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고령층 소비의 전체 가계소비에 대한 기여율이 2011~2015년 중 38.5%에서 2016~2020년 중 60%대로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일본의 경우도 고령화와 장기간 경기부진을 거쳐 고령층의 소비성향이 상당폭 떨어졌다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연금소득 증대, 노인 장기요양보험 실시 등으로 노후 불안이 완화되면서 소비성향이 증가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고령층 소비 증가를 위한 대책으로는 ▲고령층에 적합한 일자리 확충 ▲보유자산 유동화 활성화 ▲노후 연금수급의 불확실성 완화 등이 제시됐다. 한은은 "고령층이 국민경제의 주요 축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며 "다른 나라에 비해 크게 낮은 소비 성향을 정상화하기 위해 미래 소득흐름의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데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