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인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25일 원전에 대한 사이버공격 예고와 관련해 "사이버공격에 대한 원전 가동 중단이나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가능성은 없다"고 결론내렸다.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이날 오후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국가사이버안보위기 평가회의'에서 "원전의 제어시스템은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어 외부 해킹에 의한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국가안보실은 또 "오늘 회의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운용 중인 원전은 모두 정상 가동 중인 것을 재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가안보실은 "이번 해킹 사건은 해킹 집단이 과거에 획득한 자료를 5차례에 걸쳐 조금씩 공개하면서 사회불안을 조장하려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이와 관련해 해킹 및 자료 유출 경위와 진원지에 대해서는 빠른 시일 내에 규명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국가안보실을 비롯한 관계 기관들은 당분간 사이버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변화되는 상황을 냉철하게 분석·평가하고 적절한 대응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며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민간, 지자체 등의 모든 기반시설에 대해 종합점검을 해 취약점을 보완하는 등 사이버 방호태세를 국가안보 차원에서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회의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자료를 빼낸 '원전반대그룹'이 원전 가동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성탄절인 이날 2차 공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한 것과 관련해 원전 가동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10개 부처가 회의에 참석했다.
앞서 국가안보실은 지난 17일에도 북한의 소니픽처스 해킹사건과 유엔 북한인권법 논의 등과 관련해 북한이 사이버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해 사이버안보위기 평가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한편 국가안보실은 지난 22일부터 기존 사이버대응팀에 추가해 관계기관 전문가들을 보강한 '사이버위기대응팀'을 편성하고 23일에는 사이버위기경보태세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