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서울시, 장위1동 뉴타운 해제구역 등 도시재생 시범사업 5곳 선정

강동구 암사1동(남동권)과 성동구 성수1~2가(동북권), 성북구 장위1동 뉴타운 해제구역(동북권), 동작구 상도4동(서남권), 서대문구 신촌동(서북권) 등 5곳이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지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지난 성장시대 이뤄졌던 전면 철거 후 개발 등 물리적 공급 중심의 도시 개발·관리에서 벗어나 보전과 재생을 도모한다. 

거대 단위가 아닌 지역 특성에 맞는 생활권 단위 환경 개선,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 공동체 활성화, 골목경제 살리기 등 이른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을 통해 '낙후·쇠퇴지역 활성화', '지역경제 부활'을 동시에 이루는 것이 목표다.

서울시는 26일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인프라·안전 등 생활여건이 열악해 도시재생이 시급한 장위1동 뉴타운 해제구역 등 5곳 총 285만3000㎡를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대상으로 첫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도시재생 선도지역'과 별개로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을 통해 4대 권역별 특성에 맞는 '서울형 도시재생' 성공모델을 만들어 서울 전역으로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시범사업 대상지는 건축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14개 자치구에서 응모한 15개 사업을 대상으로 적정성, 자치구 추진역량, 주민 관심 및 참여도, 파급 효과, 지역 쇠토도 등을 평가해 선정됐다.

선정된 5곳은 2015년부터 자치구 주관으로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 지역 주민과 자치구가 계획 수립부터 시행까지 주체로 참여하고 시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사업당 4년간 최대 100억원(서울시 90%, 자치구 10% 분담)이 지원된다. 시는 우선 2015년 시범사업 활성화 계획 수립을 위해 사업 당 최대 4억5000만원, 도시재생 선도적 시설 설치비 등 10억원씩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지역이 자체적으로 지속가능성을 갖추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마련, 지역 커뮤니티 조성 등 마중물 성격의 사업에 집중 투자된다.

지역 역량 강화, 지역 자산을 활용한 문화적 재생, 창조적 일자리 확보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 등과 같이 '시설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 재생사업에도 투자될 예정이다.

진희선 주택정책실장은 "자생력 기반확충과 공동체 회복 이라는 향후 도시재생 사업 방향의 선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