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文 정부 정책에 유통대기업들 자발적 지배구조로 선제 대응

향후 기업들의 지배구조, 사업개편, 경영권 승계 등 불확실성 ↑

문재인 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대기업들의 자발적 지배구조 개편을 이끌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김상조-장하성 투톱 체제 때문이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후보자는 이른바 '재벌 저격수'로 통한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대기업의 불합리적 지배구조 문제 등을 지적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또 문 정부 출범 후 스튜어드십코드 도입, 상법개정안 개정, 소액 주주 권리 강화 등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실제 대기업들은 이 같은 정책 흐름에 맞춰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다. 롯데쇼핑은 지난 8일 시네마 사업 부문을 분할해 롯데시네마를 별도 법인으로 설립한다고 공시했다.

BGF리테일도 같은 날 BGF와 BGF리테일을 인적분할하기로 했다고 알렸다. BGF리테일 측은 장기성장을 위한 지배구조 확립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랜드그룹도 오는 하반기부터 기업 구조 변경에 돌입한다. 이랜드월드를 지주회사로 하고, 자회사별로 책임경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일부 대기업들이 선제적 대응에 나선 까닭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 등 문 정부의 정책 방향이 비교적 선명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지배구조 개편을 검토 중인 다른 기업들도 롯데 등의 선제 대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같은 방식의 선제 대응을 새 정부가 어떻게 수용할 지 지켜보는 것이 향후 경영 전략 구상에 좋은 힌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자 일각에서는 향후 다수 대기업들이 지배구조 및 사업개편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와 관련, "롯데 등 기업의 선제적 대응이 향후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사업개편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스튜어드십코드 도입, 상법개정안 개정, 공정위의 입장 변화 등을 고려하면 향후 기업들의 지배구조, 사업개편, 경영권 승계, 자사주 활용의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