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정부, 연구산업 지원으로 5년간 과학기술 일자리 1.2만개 창출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정부가 연구산업 혁신성장을 통해 고급 일자리 1만2000개를 창출한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R&D 생산성 제고 및 과학기술 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연구산업 혁신성장전략'을 5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5년간 236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주문연구를 통한 R&D의 분업화·전문화 ▲연구관리 활성화 ▲연구개발 신서비스산업 발굴 및 육성 ▲연구장비 국산화 확대 ▲제도적 기반 마련 등 5대 전략 18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먼저, 바이오·나노 등 주문연구 중점 유망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 중소기업 R&D 바우처 사업 참여를 지원해 민간기업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수요기관과 주문연구기업 매칭을 활성화하기 위한 종합정보체계를 구축한다. 이밖에 1인 기업 창업 촉진을 위해 관련 제도를 등을 개선할 계획이다. 


  연구관리를 전문기업으로 아웃소싱하는 환경도 구축한다. 10대 중점 연구관리 서비스를 우선 도출하고 기업의 서비스별 컨텐츠 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전문 서비스 인력을 양성해 서비스 기반을 확충한다. 이외에 연구관리분야 협동조합, 창업지원 협동조합 설립 등을 지원한다.


특히 2014년 기준 국내 연구장비 시장의 85%가 외산이고, 정부 R&D 구축액 상위 20개 제작사 중 국내기업은 전무한 실정이다. 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에 등록된 국산 연구장비 기업 327개사를 조사한 결과 50명 미만 기업이 75% 차지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 정책은 연구장비 개발, 연구개발서비스업 육성 등 R&D와 연동되는 정책이 개별적으로 수립됐다. 이로 인해 국가 R&D의 통합적 관점에서 산업화하려는 노력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R&D 연동산업 전체를 하나의 산업인 '연구산업'으로 묶어 시장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자생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을 처음 마련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차관은 "연구산업은 국가 R&D가 고급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산업이다. 우리나라 R&D 규모를 감안하면 혁신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분야"라며 "특히 연구산업은 중소기업들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로 중소기업이 혁신성장 주체로 자생해 생태계를 조성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