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1월 외환보유액 4427억 달러...달러 강세에 감소

1월말 외환보유액 전월대비 3.7억달러 감소
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자산 환산액 감소한 영향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지난달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4427억3000만달러로 줄었다. 미 달러화 강세에 따른 기타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미달러화 환산액 감소가 주요인이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1년 1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427억3000만달러로 전월말 대비 3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이로써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 연속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던 외환보유액은 감소세로 전환했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발 후 급등했던 원·달러 환율이 하락했고, 미달러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4431억달러)이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운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 들어 미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미달러화 환산액이 감소하면서 외환보유액이 전월보다 감소했다. 지난달 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규모"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주요 6개국 통화 대상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화 지수는 90.46로 전월대비 0.9% 상승했다.

외환보유액 중 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 등을 포함한 유가증권은 4045억7000만달러로 전체 외환보유액의 91.4%를 차지했다. 예치금은 249억9000만달러(외환보유액 비중 5.6%), IMF포지션은 48억1000만달러(1.1%), 금은 47억9000만달러(1.1%),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은 35억6000만달러(0.8%)로 구성됐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 수준이다. 국가별 외환보유액 규모 순위를 보면 중국이 3조2165억달러로 1위에 올랐다. 이어 일본(1조3947억달러), 스위스(1조836억달러), 러시아(5958억달러), 인도(5858억달러) 순이었다. 우리나라의 뒤는 브라질(3537억달러)의 몫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