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가계대출 금리' 상승…대출자들 이자 부담 어쩌나

지표금리 상승, 우대금리 축소
전문가들 "기준금리 인상 대응력 높여야" 조언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가계대출 1000조 시대에 접어든 가운데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오름세를 보이면서 대출고객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신용대출 최저금리(1등급·1년)는 연 2.57~3.62%다. 지난해 7월 말 1.99~3.53%와 비교하면 최저 기준 0.58%포인트 오르는 등 눈에 띄게 상승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0.50%까지 내린 이후 1년째 동결 기조지만 시장금리가 슬금슬금 오르면서 대출을 받으려는 고객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도 비슷한 상황이다. 은행채 금리 등 가계대출 지표금리 상승 영향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관리 압박에 거래 실적 등에 따라 적용받을 수 있는 우대금리도 축소되는 추세다.

이렇게 되면 신규 대출고객 뿐 아니라 기존 대출고객들의 부담도 늘어난다. 가계대출 중 상당수가 고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를 선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경기 회복세에 접어들고 기준금리가 인상되는 시기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올해 수정 경제전망에서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사전에 특정하기는 곤란하더라도 금리정책에 대한 예측 가능성과 경제주체들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일정 조건을 전제로 금리 인상을 개시한다는 선제적 지침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수 있다"며 "향후 성장과 물가 경로, 백신 접종의 비가역적 효능 확인 시점 등을 기준금리 인상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09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빚투', '영끌' 열풍으로 직전달 사상 처음 1000조원을 돌파한 이후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