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코로나19 관련 방역규제 완화에 따라 올해 항공기 운항 약 18만 7천회(전년比 42.9%↑), 여객 약 1,709만명(전년比 434.3%↑), 항공화물 약 301만톤(전년比 10.8%↓)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13일 밝혔다.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올해 여객실적 예측치는 1,709만 479명으로, 방역규제 완화, 항공편 공급증가, 해외여행 심리 회복으로 전년(320만명) 대비 434.3%(5.3배) 가량 증가 예상되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7,117만명)에 비해서는 약 24% 수준에 머물 전망이다.
항공화물의 경우 해상운송 운임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333만톤) 대비 10.8% 감소하였으나, 국제 항공화물 순위는 전년도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할 전망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올해 재무실적 예측치는 매출액 약 9,052억원(전년(4,905억원)比 85%↑), 영업이익 –5,377억원(전년(-9,377억원)比 43%↓)으로 코로나19 영향에서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영업이익(791억원)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인천공항공사는 내년도 인천공항의 국제여객은 약 4,710만명(2019년의 67% 수준)으로 전망되며, 공사는 수익증대 및 비용절감 노력을 통해 영업이익 흑자 전환을 달성하는 등 2023년을 공항운영 정상화 및 재도약의 원년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공사는 ‘ReNewOne 2023,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인천공항’이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① 공항 본연기능 강화 및 항공/경영실적 회복(RE ICN), ② 新기술 도입 및 체질 개선으로 새로운 미래 경쟁력 확보(NEW ICN), ③ 전사적 역량 집중으로 항공산업 경쟁력 향상 주도(ONE ICN) 등의 중점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보유 데이터 개방 확대 등 민간수요 맞춤형 공사자원 개방을 확대하고 인천공항을 테스트 베드로 한 민간사업자의 신기술 실증 및 판로지원 추진 등 민간성장을 적극 지원해 공동체 성장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확대 생산 및 RE100 6% 달성을 통해 친환경 공항으로의 전환을 선도하고, 인천공항 윤리경영 모델 고도화 및 국민참여 경영환경을 조성하는 등 사회적 책무 이행을 바탕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공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김경욱 사장은 “올해 인천공항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도 공항운영을 단계적으로 정상화하고 미래성장을 위한 재도약 기반을 확보할 수 있었다”며 “내년에 공사는 공항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고 新기술 도입을 통한 새로운 미래경쟁력 확보를 추진해, 포스트 코로나를 선도하는 글로벌 허브공항으로 재도약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