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사업체종사자 수가 46개월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경기 침체,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건설업,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많이 줄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2025년 1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989만5000명이다.
전년 같은 달(1991만6000명)보다 2만2000명(-0.1%) 감소한 수준이다.
사업체종사자 증가율은 코로나 사태가 회복된 시기인 2021년 3월부터 '플러스'로 전환됐는데, 46개월만에 마이너스로 바뀌었다. 증가폭은 지난해 10월부터 3달 연속 10만 명 아래를 밑돌고 있었다. 노동시장 둔화가 본격화된 모양새다.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한파가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재훈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최근의 건설경기 침체,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건설업과 도소매업에서 많은 감소가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건설업을 중심으로 1월 종사자 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종사자 수가 감소한 산업은 건설업(11만4000명·-7.8%), 도매 및 소매업(3만5000명·-1.5%), 제조업(1만1000명·-0.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4000명·3.6%),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만9000명·1.4%), 부동산업(1만8000명·4.2%) 등에선 종사자 수가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전년 동월 대비 1만2000명(0.1%) 증가했으나 임시일용근로자는 1만9000명(-1.0%) 감소했고 기타종사자(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실적에 따라 판매수수료만을 받는 종사자, 업무 습득을 위해 급여 없이 일하는 종사자 등)도 1만4000명(-1.2%) 줄었다.
입·이직자 및 채용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중 입직자는 104만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1만명(-9.6%) 감소했고 이직자는 112만5000명으로 3만5000명(-3.0%) 줄었다.
채용의 경우 상용직은 40만5000명으로 4만5000명(-10%) 줄었고 임시일용직도 46만3000명으로 7만명(-1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번 고용부 발표에는 지난해 월평균 실질임금(물가수준 반영) 및 명목임금(미반영) 수준도 제시됐다.
지난해 연간 월평균 실질임금은 357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1만9000원(0.5%) 증가했고 명목임금은 407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11만3000원(2.9%) 늘었다.
하반기 실질임금은 360만2000원으로 5만3000원(1.5%), 명목임금은 412만6000원으로 13만3000원(3.3%) 증가했다.
연간 월평균 근로시간은 전년 대비 1.3시간(-0.8%) 감소했다. 고용부는 이를 두고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짧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근로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고용부는 지난해 10월 말 기준 지역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사업체종사자 수는 서울 강남구(73만4000명), 경기 화성시(52만명) 순으로 많았으며 경북 울릉군(3만5000명), 영양군(4만2000명) 순으로 적었다.
반면 전년 동월 대비 종사자 수 증감률을 보면 서울 강남구에서 1만4000명(-1.9%) 줄며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을 중심으로 숫자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