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는 지난 17일 제330회 임시회 중 첫 일정으로 영등포구 신안산선 철도건설 구간 인근 도로에서 공동조사 및 복구 현장을 시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현장점검은 도심 내 지하개발 공사장과 노후하수관로의 증가로 지반침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추진 중인 차량형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한 공동탐지 및 복구 시스템의 실효성과 보완사항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GPR 장비에 탑승해 실시간으로 도심 도로 하부를 탐사하고, 공동이 탐지된 위치를 천공해 내시경 촬영을 통해 확인한 후, 공동에 채움재를 주입하는 복구 과정까지 직접 확인하고 면밀히 점검했다. 또 도심 내 지반침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하개발 공사장 주변에 대한 공동조사 점검주기 단축과 조사구간 확대를 주문했다.
강동길 위원장은 "작년만 하더라도 한 해 동안 서울시 관내에서 시구 공동조사로 발견한 공동이 1563개에 달하고, 서울시가 조사를 시작한 2014년 이후 2025년 3월까지 총 1만934개의 공동이 발견됐다"면서 "서울시가 보유한 GPR 장비 7대와 민간용역 장비 8대(자치구 민간용역 장비 36대 별도 운용) 운용만으로는 광범위한 도심지역을 촘촘하게 점검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반침하 사고는 사전 예측이 어렵고 시민 생명과 직결되는 만큼, 공동조사를 위한 전문인력 확충과 장비 충원 등으로 조사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며 "서울시의회도 시민의 안전을 위해 지반침하 대책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예산 투입과 제도적 지원을 약속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