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용산공원, '6개 단위→단일공원'으로 통합 조성한다

국토부, 용산공원정비구역 기본계획 변경안 확정

용산공원이 기존 생태축·문화유산·놀이공원 등 6개 단위공원에서 단일공원으로 통합해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제11차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쳐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을 오는 22일 확정·고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2011년 10월 확정한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수립 이후, 전시작전권 전환 연기에 따른 한미연합사 잔류, 설계비 확보 지연, 신분당선 연장 노선 결정 지연 등 여건 변화를 반영했다는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당초 6개 단위공원으로 획일적으로 구획된 공원개념에서 탈피,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성·관리하기 위해 한국조경학회의 연구용역을 거쳐 계획변경(안)을 마련해왔다. 이후 공청회와 관계기관 협의,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쳤다.

구체적으로 당초 6개 단위공원(생태축공원, 문화유산공원, 관문공원, 세계문화공원, 놀이공원, 생산공원 등) 개념에서 벗어나 큰 틀에서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고 생태 축을 따라 역사·문화·예술·스포츠 등 콘텐츠를 조화롭게 배치하는 단일공원으로 조성된다.

전체 공원조성은 당초대로 2027년까지 완료하되, 국민적 관심과 여건 변화를 감안해 단계별 조성계획을 수정했다.

2018년까지 설계·조사 등을 마치고 보전이 양호한 지역은 임시 개방한다.

2019~2021년은 임시개방 지역 확대 및 부분적인 조성에 착수하고, 2022~2024년은 본격적으로 공원 조성에 돌입한다. 2027년까지 남북녹지축 연결, 중앙호수, 한미연합사 잔류지역 공원조성 등 전체 공원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한미연합사 지역은 당초 2023년께 공원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 10월 한미연합사 잔류 결정으로 2025~2027년으로 연기됐다.

이에 따라 메인포스트, 사우스포스트 등 본체부지 주변 3개 산재부지(18만㎡) 개발구상도 수정됐다.

미군기지 이전 재원(3조4000억원) 마련을 위해 산재부지 용도를 당초대로 일반상업지역(용적률 800% 이하)으로 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다만 경관 등 주변 도시여건의 특성을 감안, 이전비용 확보를 전제로 서울시와 협의해 산재부지별로 용적률 상·하향 조정 등 신축적인 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복합시설조성지구는 주변지역 용도에 부합하는 기능·규모를 고려해, 지역거점 기능을 하도록 하고 공원네트워크 확산의 시작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캠프킴은 용산 부도심과 도심을 연결하는 축으로, 유엔사와 수송부는 한남재정비촉진지구의 중심상업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이 확정됨에 따라 용산미군기지 이전(2016년 예정) 및 부지 반환시기에 맞춰 공원조성 공사에 착수(2019년)할 수 있도록 기본설계, 실시계획 등 후속 절차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신분당선 연장선 공원경유 계획은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의 무산으로 구체적인 노선 및 역사 위치 등이 결정되지 않아 이번 변경계획에서 제외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