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3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14% 오르며 상승폭이 한층 커졌다.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중심의 상승 여파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해 1주 전(-0.02%)보다 하락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주 전보다 0.14% 올라 상승폭이 전주(0.11%) 대비 더 커졌다. 변동률 추이를 살펴보면 2월 첫째 주 들어 0.02%로 상승 전환한 후 2월 둘째 주 0.02%, 2월 셋째 주 0.06%, 2월 넷째 주 0.11%, 3월 첫째 주 0.14%로 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강북권은 1주 전보다 0.02% 오르는 데 그쳤으나 강남권은 0.24% 올랐다. 특히 강남3구가 있는 서울 동남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1월20일 0.04%→2월3일 0.06%→2월10일 0.1%→2월17일 0.24%→2월24일 0.36%→3월3일 0.48%로 상승폭이 더 가팔라졌다. 송파구의 상승률이 0.68%로 가장 높고 강남구 0.52%, 서초구 0.49% 순으로 나타났다.
강북 14개구에서는 광진구(0.11%)는 광장·자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0.11%)는 염리·아현동 준신축 위주로, 용산구(0.10%)는 이촌·서빙고동 위주로 상승했다. 노원구(-0.03%)는 상계·중계동 위주로, 도봉구(-0.02%)는 쌍문·도봉동 위주로 하락했다.
강남11개구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송파구(0.68%)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강남구(0.52%)는 청담·압구정동 위주로 올랐다. 서초구(0.49%)는 반포·잠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0.10%)는 고덕·상일동 대단지 위주로, 양천구(0.08%)는 신정·목동 위주로 상승 했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및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도 희망가격이 상승하고 상승계약이 체결되고 있다"면서도 "일부 지역·단지에서는 매수 관망세를 보이는 가운데 서울 전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수도권은 지난주 0.01% 상승 전환한 뒤 0.02%로 2주째 올랐다. 인천(-0.03%→-0.03%)은 경기(-0.04%→-0.04%)는 하락폭이 지속됐다.
인천은 계양구(-0.11%)에서 공급물량 영향이 있는 효성·작전동 위주로, 미추홀구(-0.06%)는 학익·용현동 위주로, 연수구(-0.05%)는 연수·송도동 위주로, 부평구(-0.03%)는 삼산·부개동 구축 위주로, 동구(-0.03%)는 송현·송림동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도는 과천시(0.51%)는 재건축사업 영향있는 별양·부림동 위주로, 용인 수지구(0.16%)는 교통환경 우수한 풍덕천·죽전동 신축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김포시(-0.29%)는 마산·걸포동 위주로, 광명시(-0.19%)는 공급물량 영향있는 철산·하안동 위주로, 파주시(-0.14%)는 문산읍 및 금촌동 위주로 떨어졌다.
지방(-0.05%→-0.04%)은 하락폭이 줄었다. 5대 광역시(-0.06%→-0.05%)는 하락폭이 감소했으며 8개도(-0.03%→-0.03%)는 유지, 세종(-0.08%→-0.09%)은 하락폭이 더 커졌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울산(0.02%), 강원(0.01%), 전북(0.01%) 등은 상승, 대구(-0.10%), 제주(-0.07%), 경북(-0.05%), 부산(-0.05%), 경남(-0.04%), 전남(-0.04%), 충남(-0.04%) 등은 하락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세 가격은 1주 전보다 0.01% 오르며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됐다. 수도권(0.01%→0.02%)은 상승폭이 확대됐으며 서울(0.03%→0.03%)은 상승폭이 유지됐다.
부동산원은 "일부 외곽지역 및 구축에서 매물가격 하향 조정되며 전세가격이 하락했으나 정주여건이 양호한 역세권 및 학군지 등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계약이 체결되며 서울 전체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의 전세가격은 0.00% 보합, 경기도는 0.02% 상승했다. 지방(0.00%→0.00%)의 전세가격은 보합이 유지됐다. 5대광역시(0.02%→0.00%)는 하락했으며 세종(-0.01%→0.02%)은 상승 전환됐다. 8개도(-0.01%→-0.01%)는 하락폭이 유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