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지난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58%로 잠정 집계됐다. 2018년 11월(0.60) 이후 6년 3개월 만의 최고치다.
중소기업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며 전체 연체율을 끌어올렸다.
금융감독원은 25일 이같은 내용의 '2025년 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을 공개했다.
2월 말 연체율은 전월 말(0.53%)과 비교해 0.05%p 늘었고,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서도 0.07%p 증가했다.
2월 중 신규연체는 2조9000억원,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8000억원으로 지난 1월에 비해 연채채권이 1조1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에 비해 0.07%p 증가한 0.68%,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과 비슷한 0.43%를 각각 나타냈다.
기업대출 중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10%로, 전월말(0.05%)에 비해 0.05%p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84%로, 전월말(0.77%)에 비해 0.07%p 상승했다. 중소기업 중 중소법인 연체율은 0.90%,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6%를 각각 나타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월과 비슷한 0.29%, 그 외 대출 연체율은 0.05%p 증가한 0.89%를 나타냈다.
금감원은 "신규연체 감소와 정리규모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중소법인·개인사업자)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며 은행권 연체율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 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적극적 연체·부실채권 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