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74.07조원, 영업이익 10.44조원의 2024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전사 매출은 전분기 대비 3% 증가한 74.07조원을 기록했다. DS부문은 메모리 업황 회복으로 전분기 대비 23% 증가하고, SDC는 OLED 판매 호조로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84조원 증가한 10.44조원을 달성했다. IT 시황이 회복되는 가운데 메모리 분야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에 대한 대응으로 DS부문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대폭 상승했다. MX는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수익성이 다소 하락했다.
미래 성장 동력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며 2분기 8.05조원의 연구개발비를 집행했다.
반도체가 속한 DS(Device Solutions)부문의 매출은 28.56조원, 영업이익은 6.45조원을 기록했다.
메모리는 생성형 AI 서버용 제품의 수요 강세에 힘입어 시장 회복세가 지속되는 동시에, 기업용 자체 서버 시장의 수요도 증가하며 지난 분기에 이어 DDR5(Double Data Rate 5)와 고용량 SSD(Solid State Drive) 제품의 수요가 지속 확대되었다.
삼성전자는 ▲DDR5 ▲서버SSD ▲HBM(High Bandwidth Memory) 등 서버 응용 중심의 제품 판매 확대와 생성형 AI 서버용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해 실적이 전분기 대비 대폭 호전됐다.
파운드리는 시황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도 5나노 이하 선단 공정 수주 확대로 전년 대비 AI와 고성능 컴퓨팅(HPC, High Performance Computing) 분야 고객수가 약 2배로 증가했다.
DX(Device eXperience)부문의 매출은 42.07조원, 영업이익은 2.72조원을 기록했다.
MX(Mobile eXperience)는 2분기 스마트폰 시장 비수기가 지속되면서 매출이 신모델이 출시된 1분기에 비해 감소했다. 판매호조가 지속되고 있는 S24 시리즈는 2분기와 상반기 출하량·매출 모두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
VD(Visual Display)는 글로벌 대형 스포츠 이벤트 특수에 힘입어 선진 시장 성장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매출이 상승했다.
생활가전은 성수기에 접어든 에어컨 제품 매출 확대와 비스포크 AI 신제품 판매 호조로 실적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
하만은 포터블과 TWS(True Wireless Stereo) 중심의 소비자 오디오 제품 판매 확대로 실적이 개선되어 매출 3.62조원, 영업이익 0.32조원을 기록했다.
SDC는 매출 7.65조원, 영업이익 1.01조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플래그십 제품의 견조한 수요와 리지드(Rigid) 판매 기반 강화로 전분기 대비 판매량이 증가하여 실적이 개선됐다.
대형의 경우 게이밍 모니터 시장 중심으로 고해상도·고주사율 신제품 판매 확대와 프리미엄 TV 시장내 OLED TV 수요 확대로 안정적 판매를 유지했다.
2분기 시설투자는 12.1조원으로 DS 9.9조원, 디스플레이 1.8조원 수준이다. 전분기 대비 0.8조원 증가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설투자 및 R&D 투자를 꾸준히 이어갈 방침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인권 존중과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글로벌 고충처리 정책'을 지난 4월 제정했으며, 2023년 아시아 소재 2차 협력사 대상으로 제3자 근로환경 검증을 실시하는 등 공급망 관리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다양성 강화를 위해 여성 임원 비중을 2030년까지 2022년 6.9% 대비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